Spring/JSP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톰캣 서버에서 이미지파일 제대로 불러오기 파일경로가 정확한데, 크롬으로 돌리니 이미지가 제대로 뜨지 않는다. 구글링 해봤더니 톰캣으로 서버를 돌리면서 외부 파일을 절대경로로 가져오려고하면, server.xml파일의 수정이 필요하다 Host를 찾아 를 추가한다. 그리고 다시 img 경로를 설정해준다 이제 제대로 작동한다. 실제 이미지 주소는 http://localhost:포트번호/프로젝트명/폴더명/파일명 스프링에서 적용 1. server.xml파일 수정 를 추가한다. ※ 기존에 있는 Context 태그(프로젝트)는 그대로 두고 이미지 불러오기 위한 context 추가해야 함 2.servlet-context.mxl파일 수정 Spring 이미지 외부 폴더로 업로드 후에 이미지 접근하기(불러오기) 이미지 업로드 후에 로컬에서 불러오려고 할 때, 안되는.. 유효성검사 기본 유효성 검사 데이터 유무 확인 input type="submit" input type="button" 더보기 아이디 : 비밀번호 : 제목 : document.form.id.select()는 유효성 검사 후 재 입력이 요구될 때 해당 입력란을 선택하여 바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함 isNaN 검사 아이디 검사 영문 소문자만 허용 숫자만 허용 영문만 입력 가능(onkeypress : 키보드 입력 시 바로 유효성검사) 한글만 입력가능 코드(특수문자 포함) 더보기 function checkKey() { if(!( (event.keyCode >= 65 && event.keyCode =97 && event.keyCode 'A' || ch'0' || ch JSP, 자바빈즈 왜 사용할까? 자바빈즈를 복습하면서 느낀 점은, 굳이 왜 자바빈즈를 사용할까?였다. useBean을 통해 객체를 가져와서 바로 setter, getter를 사용해 쓰면 되는데 굳이, setProperty·getProperty 속성을 이용하는 이유가 뭘까싶어 구글링해보았더니 도움이 된 글이 있어 첨부한다. 액션태그는 현재 JSP 페이지가 서블릿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자바코드로 변경되는데, new MyBean().. 과 같이 자바빈 객체가 생성되는 코드로 변환됩니다. 즉 스크립트 태그로 간단하게 자바 코드를 대체하는 것입니다. 또한 평소에 사용하는 HTML의 FORM 데이터를 자바빈 객체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방법은 HttpServletRequest 즉 request 객체의 getParamet.. 이전 1 다음